반응형
매달 전기요금 청구서 볼 때마다 한숨 나오는 분들 많으시죠?
특히 여름, 겨울엔 누진세까지 붙어서 더 깜짝 놀라게 되는데요.사실 정부에서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주는 제도가 꽤 많은데
모르고 못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.
오늘은 누진세 줄이는 팁 + 전기요금 절약할 수 있는 숨은 제도 3가지를
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✅ 1. 복지할인 요금제 (취약계층 대상)
대상자:
- 기초생활수급자
- 장애인
- 다자녀 가구 (3자녀 이상)
- 차상위 계층, 유공자, 독립유공자 등
할인 혜택:
- 월 최대 16,000원까지 할인
- 자동이체 설정 시 추가 할인도 가능
신청 방법:
- 한국전력공사(한전)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
- 한전 고객센터 123번 (유선 신청 가능)
📌 실사용 예시:
3자녀를 둔 A 씨는 매달 6~7만 원 하던 전기요금이
복지할인 신청 후 4만 원대로 떨어졌어요.
✅ 2. 에너지바우처 제도 (계절별 지원금)
지원 대상:
-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중
노인, 장애인, 영유아가 포함된 가구
혜택:
- 여름철 전기요금 바우처 지원 (여름: 7
9월 / 겨울: 122월) - 2025년 기준 최대 약 12,000원 상당 지원
신청 방법:
- 주민센터 방문 신청
- 복지로에서도 확인 가능
🔍 Tip:
- 바우처는 자동으로 전기요금에서 차감됨
✅ 3. 누진세 완화형 요금제 신청
대상:
- 월평균 사용량이 450 kWh 이상인 일반 가정
- 에어컨, 전기보일러, 히터 등 전기 소모 많은 가구
내용:
- 한전 홈페이지에서 누진세 완화 신청 시
기존 누진 3단계 → 2단계로 완화 - 특히 여름철엔 누진단계 자체가 한시적으로 완화됨
신청 방법:
- 한전 사이버지점 → ‘계약 종류 변경’ 메뉴
- 또는 전화 123번
📌 자주 묻는 질문:
“우리 집이 해당되는지 어떻게 알아요?”
👉 한전 사이버지점에서 전기 사용량 ‘월평균 450 kWh 이상’인지 확인해 보세요.
💡 그 외 전기요금 절약 실천 팁
✔️ 에어컨은 26~28도 자동모드로
✔️ 누진세 피하려면 분산 사용 (주말 집중 사용 피하기)
✔️ 스마트플러그 설치해 대기전력 차단
✔️ 전기온풍기보다는 가스 또는 온수매트 활용
📌 정리하며…
대부분의 가정이 받을 수 있음에도 신청하지 않아 놓치는 제도들이 많습니다.
특히 다자녀, 고령자, 장애인, 수급자 가정이라면
꼭 한 번 확인해 보시고 매달 고정비용에서 확실하게 줄여보세요.
🔗 관련 링크 모음
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(계약변경) | https://cyber.kepco.co.kr |
복지로 복지정보 검색 | https://www.bokjiro.go.kr |
에너지바우처 제도 상세안내 | https://www.energyvoucher.go.kr |
한전 고객센터 | ☎ 123번 |
반응형
'🏠 생활 꿀팁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건강보험료 너무 많이 내고 있다면? 지금 당장 줄일 수 있는 방법 3가지” (0) | 2025.04.18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