월세 사는 사람도 받을 수 있는 지원금 3가지(2025년 기준)
"나는 전세도 아니고 집도 없는데, 받을 수 있는 게 뭐가 있어?"
이렇게 생각하셨다면 오늘 글 끝까지 꼭 읽어보세요.
2025년 현재, 월세 세입자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있습니다.
실제로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.
오늘은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"월세 사는 사람도 받을 수 있는 대표 3가지 정부지원금"을 정리해 드릴게요.
①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
- 지원 대상: 만 19~34세 청년 대상
-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 x 12개월 = 최대 240만 원
- 지원 조건: 소득, 재산 기준 만족 시 (중위소득 60% 이하, 재산 1억 7천만 원 이하 등)
- 신청 방법: 복지로 청년 월세 지원 바로가기
📌 예시:
24살 자취 중인 대학생 A 씨는 월세 45만 원을 내고 있는데,
청년월세지원을 통해 20만 원을 지원받아 부담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었어요.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www.bokjiro.go.kr
② 주거급여 제도
- 지원 대상: 중위소득 47% 이하 무주택 가구
- 지원 내용: 지역, 가구 수에 따라 월세 일부 현금으로 지원
- 신청 방법: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
- 지급 방식: 신청 후 통장으로 입금됨
📌 예시:
경기도에 거주 중인 2인 가구(부모+성인 자녀)가 월세 40만 원을 낼 경우,
소득 조건만 충족된다면 월 15~25만 원 정도의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.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3201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3201
www.bokjiro.go.kr
③ LH 전세자금형 월세 지원
- 지원 대상: LH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무주택 세입자
- 지원 내용: 월세 일부 지원 (대출 상환 부담 줄여줌)
- 신청 방법: LH 임대주택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- 추가 조건: 소득 및 거주 조건 등 개별 심사 필요
📌 예시:
LH 전세자금 대출을 받고 보증금 없이 전세 계약한 B 씨는
월세 30만 원 중 10만 원 이상을 감면받고 생활비 부담을 줄였습니다.
https://www.lh.or.kr/index.es?sid=a1
한국토지주택공사
한국토지주택공사
www.lh.or.kr
💡 Tip: 내게 해당되는지 빠르게 확인하는 법!
복지로 '모의계산' 서비스를 이용하면 내가 이 혜택들을 받을 수 있는지 간단하게 확인 가능해요.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za/wmAplyMng/selectWmGdnc.do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za/wmAplyMng/selectWmGdnc.do
www.bokjiro.go.kr
✅ 정리하며…
✔️ 월세 사는 청년, 저소득층, 무주택자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분명히 있습니다.
✔️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많고, 신청만 하면 통장으로 입금되는 경우도 많아요.
✔️ 한 번 신청해 두면 연장 가능하거나 자동 갱신되는 경우도 있어요.
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어요.
지원금 꼭 챙겨 받으세요!